본문 바로가기
IT 공부/AWS

[AWS 도메인] Route53

by 노란망치 2023. 4. 16.

이번 장에서는 간략하게 Route53에 대해 알아본다. DNS 원리에 대해서는 이번 장에서는 간략하게만 설명한다. 

 

DNS 원리 

DNS의 원리는 계층구조로서 아래의 그림과 같다. 


Route53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DNS 웹 서비스로 도메인 등록, DNS 라우팅, 상태확인이 가능하다.

특징은 아래와 같다. 

  • 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마다 가중치를 설정하여 트래픽 조절 (Weight Round Robin)
  • 장애가 발생한 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은 알려주지 않음 (DNS FailOver)
  • 현재 위치에서 지연시간이 가장 낮은 리전의 IP 주소 반환 (Latency Based Routing)

 

Route53을 생성할 때는 처음 호스팅 영역을 생성하는데, 호스팅 영역에는 퍼블릭과 프라이빗이 있다. 

퍼블릭은 인터넷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방식을 결정하고, 

프라이빗은 VPC 내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즉, 퍼블릭은 외부 DNS서버, 프라이빗은 내부 DNS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때, 프라이빗은 내부 DNS서버이므로, 다른 VPC 간에 같은 도메인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VPC 내에서 Route53 DNS를 사용하려면 DNS 호스트 이름 활성화 / DNS 확인 활성화를 무조건 하여야 한다.

 

호스팅영역을 생성하였으면, A 레코드/SRV레코드 등 도메인을 생성하면 되고, IP 기반 또는 AWS 서비스 기반(ELB) 등을 지정할 수 있다. 

'IT 공부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onnect] Transit Gateway  (0) 2023.04.16
[AWS 고가용성] ELB / ASG  (0) 2023.04.16
[AWS 관리] Cloud Watch / Cloud Trail  (0) 2023.04.16
[AWS 스토리지] EBS/EFS/S3  (0) 2023.04.16
[AWS 컴퓨팅 노드] EC2  (0) 2023.04.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