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공부/AWS8 [AWS 스토리지] EBS/EFS/S3 이번 글에서는 Block Storage / File Storage / Object Storage에 대한 개념과 AWS에서의 서비스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Block Storage / EBS Block Storage란 사용자의 데이터를 Volume에 Block 단위로 저장하거나 Access하는 스토리지 유형이다. 일반적인 Local Disk 및 SAN/iSCSI, NTFS, Ext, xfs 파일시스템이 있다. 특징은 아래와 같다.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할 때, Block 이라는 일정 크기의 단위로 분할 분할된 Block은 스토리지에 분산되어 저장 각 Block은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있음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올 때는, 식별자를 통해 Block을 찾아 재조합 가장 일반적인 데이터 스토리지 저장.. 2023. 4. 16. [AWS 컴퓨팅 노드] EC2 이번 글에서는 EC2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알아본다. EC2는 Subnet 안에 생성이 되고, EC2에 연결된 블록 스토리지인 EBS는 EC2가 생성된 같은 AZ에 생성이 된다. 그리고 EBS의 스냅샷은 S3에 생성이 된다. EC2 과금 옵션 및 비용 최적화 EC2의 옵션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On-Demand Reserved Spot On-Demand는 평소에 쓰던 방식이다. 쓴 만큼만 지불한다. 특별히 어려울 것은 없다. Reserved는 통신사 약정으로 보면 된다. 3년 정도 쓰는 것으로 하고 할인을 받을 수 있다. Spot은 남은 자원에 대한 경매 방식이다. 2달러에 경매에 낙찰받아 EC2 자원을 쓸 수 있다. 하지만 만약 다른 사람이 5달러에 낙찰받았다면?? 강제적으로 꺼지고 다른 사람한테.. 2023. 4. 4. [AWS 네트워크] Elastic IP, NAT Gateway, NACL, Security Group 이번 글에서는 컴퓨팅 노드가 외부망으로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와, OSI 4계층에서의 방화벽 장비에 대해 알아본다. Elastic IP와 NAT Gateway 컴퓨팅 노드가 외부망과 연결이 되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컴퓨팅 노드가 Internet Gateway 정책이 반영된 Routing Table을 가진 Subnet (Public Subnet) 에 있을 경우 Elastic IP(EIP)를 연결하면 된다. EIP는 Public IP라 생각하면 된다. 무료 서비스이지만 EIP를 할당 받고 연결하지 않을 경우 과금이 발생한다. (대부분 이걸 몰라서 연습할 때 비용이 나간다..) 그렇다면 Internet Gateway 정책이 반영되지 않은 Routing Table을 가진 Subnet (Private .. 2023. 4. 4. [AWS 네트워크] VPC, Subnet, Internet Gateway, Routing Table AWS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AWS는 온프레미스와 네트워크 구조가 비슷하나, 세부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이번 글에서는 VPC와 Subnet, Intenet Gateway, Routing Table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순서대로 생성이 필요하다. VPC와 Subnet VPC는 가상 사설 네트워크 환경이다. 우리가 컴퓨팅 노드를 배치하려면 무조건 VPC가 필요하다. 가장 큰 특징은 리전 단위로 생성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리전은 데이터센터 여러개를 묶어 놓은 하나의 개념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우리나라에는 서울 리전이 있다. Subnet은 컴퓨팅 노드가 배치되는 네트워크다. Availability Zone 단위로 생성이 되고, 이전에 만들어 둔 VPC의 IP 대역을 적절한 단위로 분.. 2023. 4. 4. 이전 1 2 다음